제세동기(AED) 사용법과 응급 대처법
갑작스러운 심정지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릅니다. 심정지 환자를 목격했을 때, 적절한 응급 처치와 자동제세동기(AED)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세동기 사용법과 함께 심폐소생술(CPR)의 기본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심폐소생술(CPR)이란 무엇인가?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멈춘 상황에서 심장 박동을 복원하기 위해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실시하는 응급 처치 방법입니다. 심정지가 발생한 후 4분 이내에 적절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뇌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정지 환자를 발견했을 때 즉시 CPR을 시행하는 것이 그들의 생명을 구하는 길입니다.
심폐소생술 절차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주변 상황 확인: 환자를 확인하기 전 주변 안전이 확보되었는지 점검합니다.
- 반응 확인: 환자의 어깨를 두드리며 의식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신고 요청: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119에 신고하며 자동제세동기를 요청합니다.
- 가슴 압박: 손가락 2마디 위 위치에 두 손을 깍지 끼고, 강하고 빠른 속도로 30번 압박합니다. 빈도는 분당 100~120회를 유지합니다.
- 인공호흡: 기도를 확보한 후, 호흡이 없는 경우 두 번의 인공호흡을 시행합니다.
- 반복 시행: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30:2 비율로 반복하며,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지속합니다.
자동제세동기(AED) 사용법
제세동기는 심장 리듬이 비정상적일 때 전기 충격을 통해 심장이 정상적으로 박동하도록 돕는 장비입니다. 일반인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원 켜기: 기계를 껴고, 음성 안내에 따라 지침을 따릅니다.
- 패드 부착: 환자의 상체를 노출시킨 후, 지정된 위치에 패드를 부착합니다. 오른쪽 쇄골 아래와 왼쪽 젖꼭지 아래 부근에 각각 부착해야 합니다.
- 리듬 분석: “모두 물러나세요”라는 지시가 나올 때까지 환자와의 접촉을 피합니다.
- 제세동: 필요한 경우, 충전이 완료된 후 “제세동 버튼을 누르세요”라는 지시가 나오면 버튼을 누릅니다.
- 가슴 압박 재개: 제세동이 완료된 후 즉시 심폐소생술을 다시 시작하며, AED는 2분마다 심장 리듬을 자동으로 분석합니다.
제세동기 사용 시 주의사항
제세동기를 사용하기 전과 후, 그리고 사용 중 지켜야 할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 접촉 금지: 제세동 시 환자와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청결 유지: 환자의 피부와 패드 부착 부위가 마르고 깨끗해야 합니다. 땀이나 이물질은 제거해 주세요.
- 안전 확인: 전기 충격이 이루어지는 동안 환자와 주변의 안전을 확인해야 합니다.
- 계속된 CPR: 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CPR과 AED 사용을 계속해야 합니다.


마무리
항상 응급 상황에 대비하여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법을 숙지하고 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종종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주변에 AED가 비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심정지 환자가 발생했을 때 주저하지 말고 적절히 대처하시기 바랍니다.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생사를 가늠할 수 있음을 기억하며, 꼭 필요한 경우에 위해 CP와 AED 사용법을 숙지해 두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자동제세동기(AED)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ED를 사용하려면 먼저 전원을 켜고 음성 안내에 따라 패드를 부착하세요. 심장 리듬을 분석할 때는 모든 사람에게 물러나라고 지시합니다.
심폐소생술(CPR)은 언제 시작해야 하나요?
심정지를 의심할 경우, 바로 CPR을 시작해야 합니다. 즉시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고,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세요.
AED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사용 중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패드 부착 부위를 깨끗이 유지해야 합니다. 전기 충격을 가할 때는 모두 물러나게 하여 안전을 확보하세요.
0개의 댓글